본 문: 마가복음 6장 1절 - 6절
제 목: 시기심의 뿌리는 우월감입니다.
1 예수께서 거기를 떠나사 고향으로 가시니 제자들도 따르니라
2 안식일이 되어 회당에서 가르치시니 많은 사람이 듣고 놀라 이르되 이 사람이 어디서 이런 것을 얻었느냐 이 사람이 받은 지혜와 그 손으로 이루어지는 이런 권능이 어찌됨이냐
3 이 사람이 마리아의 아들 목수가 아니냐 야고보와 요셉과 유다와 시몬의 형제가 아니냐 그 누이들이 우리와 함께 여기 있지 아니하냐 하고 예수를 배척한지라
4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선지자가 자기 고향과 자기 친척과 자기 집 외에서는 존경을 받지 못함이 없느니라 하시며
5 거기서는 아무 권능도 행하실 수 없어 다만 소수의 병자에게 안수하여 고치실 뿐이었고
6 그들이 믿지 않음을 이상히 여기셨더라 이에 모든 촌에 두루 다니시며 가르치시더라
오랜만에 참석한 고등학교 동창회에 나보다 한참 못한다던 친구가 성공해서 벤츠라도 끌고 나타나면 기분이 썩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이유는 벤츠가 아닙니다.
학창 시절 나보다 잘하던 친구가 벤츠가 타고 오면 “그러려니” 하고 넘어갑니다. 하지만, 나보다 한참 못하던 친구가 벤츠를 탈 만큼 세상적으로 성공해서 나타나면 반응이 달라집니다. 시기심의 뿌리에는 저 사람보다는 뛰어나다는 우월감이 숨겨져 있습니다. 그 우월함은 하나님 보시기에 교만의 또다른 모습입니다.
예수님께서 고향 나사렛을 방문하자, 마을 사람들은 “이 사람이 어디서 이런 권능을 얻었느냐? 이 사람이 마리아의 아들 목수가 아니냐? 야고보, 유다, 시몬의 형제가 아니냐?”는 식으로 비아냥거립니다.
예수님의 입에서 나오는 은혜로운 하나님의 말씀과 기적을 보면서도 배척합니다. 나사렛 사람들이 예수님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배경에도 시기심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가난한 목수 가정의 아들보다는 뛰어나다는 우월감과 교만이 있습니다.
우월감과 교만은 하나님의 역사를 거부하게 만듭니다. 하나님은 세상의 미련한 것들과 천한 것들과 멸시 받는 것들과 없는 것들을 택하사 하나님의 역사를 행하시기 때문입니다(고전1:28.
남보다 공부를 잘 할 수 있고, 돈을 잘 벌 수 있고, 말을 잘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남보다 못할 수도 있습니다. 혹시, 남보다 더 조금 물질이 많고, 건강하고, 똑똑하다면, 그렇지 못한 사람을 돕도록 주어진 축복으로 여기시기 바랍니다.
반대로, 남이 나보다 더 잘한다면 함께 기뻐하며 축하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그 사람이 누리는 하나님의 축복이 나에게도 임할 수 있습니다.
- 묵상 질문
1) 나보다 뛰어난 사람을 향해 어떻게 반응합니까?